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계부 안 써도 돈이 모이는 3가지 습관

by 엔젤스마일 2025. 3. 17.
반응형

가계부 쓰기 귀찮아서 포기한 적 있나요? 사실 돈이 모이는 핵심은 습관에 있습니다. 가계부 없이도 자연스럽게 돈이 쌓이게 만드는 3가지 방법을 소개할게요.

 

1. 자동 저축 시스템 만들기

가장 쉬우면서 효과적인 방법은 돈이 자동으로 모이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것입니다.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일정 금액이 저축 계좌로 빠져나가도록 설정하세요.

 

📌 실천 방법

1) 급여일 자동이체 설정 - 월급이 들어오면 일정 금액이 적금, 투자계좌로 이동

2) 선저축 후소비 원칙 - 남는 돈을 저축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저축하고 남는 돈을 소비

3) 체크카드 사용 - 신용카드보다 실시간으로 돈 빠지는 체크카드 사용

 

💡 예시 : 월급이 250만 원이면, 10%인 25만 원을 자동이체로 저축 계좌에 넣기. 이렇게 하면 한 달이 지나도 절대 소비하지 않은 상태로 돈이 쌓입니다.

 

👉 자동 저축을 습관화하면 돈은 알아서 모이기 시작합니다.

 

2. 고정지출 다이어트 하기

우리가 무심코 내고 있는 불필요한 고정 지출을 줄이면 돈이 저절로 남습니다.

 

📌 줄일 수 있는 대표적인 지출 항목

1) 통신비 :  5G 요금제 -> 저렴한 LTE 요금제로 변경 (월 2~3만 원 절약 가능)

2) 구독서비스 :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OTT 서비스 점검( 정말 필요한 것만 유지)

3) 커피&배달비 : 하루 한 잔 4,500원 커피 -> 한 달이면 13만 원 절약 가능

 

💡 예시

- 넷플릭스 (월 17,000원) + 유튜브 프리미엄(월 13,000원) = 연간 36만 원 지출!

-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월 69,000원) -> 알뜰폰(월 25,000원) 변경 시 연간 52만 원 절약 가능

 

📢 작은 고정지출을 줄이면 저축할 돈이 자동으로 늘어납니다.

 

3. 소비 습관을 바꾸는 마법의 질문

돈을 모으는 사람들은 소비 습관이 다릅니다. 돈을 쓰기 전 아래 3가지 질문을 던져 보세요

 

1️⃣ 이게 정말 필요한가?

- 단순히 갖고 싶어서 사는지 정말 필요한지 생각해 보기

2️⃣ 이걸 안 사면 어떻게 되지?

- 없으면 불편한지, 대체할 방법이 있는지 고민

3️⃣ 이 돈을 투자하면 얼마가 될까?

- 예 : 10만 원을 ETF에 넣으면 10년 뒤 얼마나 불어날까?

 

💡예시

- 새로운 아이패드가 갖고 싶다 -> 정말 필요한가? 기존 태블릿으로 해결할 수 없을까?

- 새로운 옷을 살까? -> 옷장을 열어보고 안 입는 옷이 있다면 먼저 활용하기

 

📢 72시간 룰을 적용하세요!

물건을 사고 싶을 때 3일 동안 기다려보기. 충동구매의 70%는 이 방법으로 사라집니다.

 

🎯 결론 : 돈이 모이는 사람은 시스템을 만든다

  • 자동 저축 시스템 만들기 : 돈이 빠져나가도록 설정
  • 고정 지출 다이어트 : 절약한 돈을 저축으로 전환
  • 소비 습관 바꾸기 : 필요 없는 지출 줄이기

* 가계부를 안 써도 이 3가지만 실천하면 돈이 모이기 시작합니다!

* 지금 바로 자동 저축 설정부터 시작하세요 💰

반응형

댓글